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hansonkim82

상황 인지에 따른 창의력의 차이 본문

직장생활

상황 인지에 따른 창의력의 차이

오우지좌쓰 2019. 6. 18. 10:55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습니다.

창의력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입니다.

 

1반부터 4반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똑같이 30분씩

똑같은 물체(색종이, 물감, 공, 바퀴 등등)를 주고 실험을 했습니다.

 

 

먼저

1반의 학생들에게는
“각자 마음에 드는 것 다섯개 골라서 새롭고 신기한거 만들어봐”
라고 하면, 특이한 물체들은 고르지 않고, 평범하고 똑 같은 물체들을 고른다 합니다.
그리고는 남자들은 똑같이 자동차를 여자들은 집을 만드는 것이죠. 창의성 제로!

 

2반의 학생들에게는
“각자 마음에 드는 것 다섯개 골라”라고만 합니다.
뭘 만들라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목표를 전달안함) 익숙하지 않고 독특하고 취향에 따라 선택한다합니다.
이 상태에서 “이제 새롭고 신기한거 만들어봐”라고 하면 재료가 달라졌고, 취향에 따라 선택했기 때문에,
1반에 비해 조금 더 창의적으로 만듭니다.

 

3반의 학생들에게는 재료를 보여주지 않고
“새롭고 신기한 것을 만든다면 뭐를 만들래?”
라고 하면 로보트, 프로그램, 영구기관 등 말도 안되는 어마어마한 아이디어들이 쏟아 집니다.
이제 아이들에게 재료를 주고
”다섯개 골라서 아까 말한것들 만들어봐”
라고 하면 물체들을 체감하며 다른 각도로 관찰을 합니다.

 

4반의 학생들에게는
3반과 같이 진행한다음
“옆사람이랑 고른 물건들을 바꿔”라고 합니다.

 

3, 4반의 학생들이 만들어낸 물건들을 체점을 하면 창의력이 뛰어난 아이들을 모아서 1반과 같은 환경에서 실험을 한 결과 보다 창의력에서 두배이상의 성과를 보인다 합니다. 능력보다 상황이 창의력을 높인단는 것을 실험으로 밝힌거죠.

 

1반은 도구, 방법, 목표를 동시에 고민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세가지 조건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베끼기를 한다합니다. 동시에 고민할때 오는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기 때문에 쉽고 편한 방법으로 선택을 하게 된다는 거죠.
2반부터는 도구, 방법, 목표를 고민하는 시간을 분리한것입니다. 이때에는 취향에 따라 선택하게 되었고, 멀티테스킹을 하지 않게 됐습니다.
3반, 4반은 도구, 방법이 주어지지 않아서 스스로를 제약하지 않고, 목표를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잡아버립니다. 이 후 주어지는 도구와 방법은 목표를 이루기위해 다른 시선으로 보게 된다 합니다.

 

꿈, 목표가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합니다. 목표의 크기에 따라 도구와 방법을 다루고 생각하는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라 합니다.

위의 내용은 아래에 첨부하는 유투브 동영상을 요약한것이고, 관련 논문은 찾아보지 않았습니다만 교수니 어련히 알아서 인용했으리라 믿습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MLKrd2Sl4hI"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tnUwj0Gw67U"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